UPDATED. 2024-04-20 23:03 (토)
건산연, 건설자재 수요-공급 불균형 가능성 전망
건산연, 건설자재 수요-공급 불균형 가능성 전망
  • 정호근 기자
  • 승인 2023.02.13 04:29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철근 등 주요 건설자재 수요, 많게는 8%대 증가 관측
"수급 불일치로 가격 변동성 우려…공급안정 대비 필요"

불황의 공포가 높아진 건설시장이 철근 등 주요 건설자재의 수급불균형 상황을 맞게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올 한해 주요 건설자재의 품목별 수요가 많게는 8%대의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관측됐다. 

극심한 수요한파를 겪고 있는 연초 철근 시장에서는 선뜻 공감하기 어려운 연구결과다. 다만 금리폭등 이후 수급흐름의 왜곡이 급격했던 시장의 문제를 고려할 때, 불확실한 수급변화에 대한 긴장의 끈을 내려놓기 어려운 문제로 주목된다.

10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하 건산연)은 ‘건설 경기 변화에 따른 주요 건설자재 수요 변화 연구’ 결과, “2023년 건설자재 수요가 전년 대비 증가하지만, 안정적인 생산이 뒷받침되지 않아 향후 수급 불균형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건산연은 주요 건설자재(시멘트, 레미콘, 골재 및 석재, 철근 및 봉강) 수요와 공급 패턴을 살핀 결과, 건설 경기 회복 및 확장기에는 수요량보다 더 많은 생산이 이뤄지지만 건설 경기 하락국면에서는 실제 수요보다 더욱 급격히 생산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착공면적을 통한 향후 주요 건축공사 자재 예상 수요
착공면적을 통한 향후 주요 건축공사 자재 예상 수요

연구결과에 따르면, 건설산업은 경기 변동성이 큰 산업이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자재 생산업체들은 경기 하락기에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재고 소진에 힘쓰는데 이후 ‘특정’ 구간에서 재고 부족과 맞물려 수급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특정 구간은 경기 침체 후 회복기로 올라가는 바로 전 하락 시점부터 반등 이후 시기로, 이때 자재 생산량이 수요량을 따라잡지 못해 수급 불일치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건산연은 ‘현재는 진행 중인 공사 물량이 감소한 상황은 아니지만, 자재 생산자들은 원자재 비용 증가에 대비하고 향후 공사 물량 위축에 대비해 생산량을 늘리기보단 감축할 유인이 높아질 수밖에 없는 시기’라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해, ‘올해 완공되는 공사가 늘어 전반적으로 건설자재 수요는 증가하지만, 지난해부터 신규 착공이 감소해 자재 생산자들은 재고 조정을 위해서 자재 생산을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며, ‘이 같은 분위기가 지속된다면, 2021년 상반기 철근난과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시멘트와 레미콘 가격 급등과 같은 자재 문제를 향후 2~3년 내 다시 한번 겪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건산연은 2021년 철근난이 발생한 것은 대중국 수입 물량이 감소한 것과 함께 국내 자재 생산업체가 과도하게 재고량을 줄여서 수급 불균형이 발생한 사례라고 지목했다.

건산연의 2023년 건설자재 수요분석 결과, ▲시멘트는 대략 4.9∼8.1% ▲레미콘은 2.7∼8.8% ▲골재는 3.3∼8.0% ▲철근 및 봉강은 6.6∼8.9% 수요 물량 증가가 전망됐다. 이는 건축착공면적으로 추정된 2023년 건축공사 물량에 건설기성자료(OLS)로 집계한 토목 공사의 소요 물량을 더하여 전망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시멘트의 경우 2022년에 5,020만∼5,170만 톤의 수요가 발생한 것으로 보이며, 2023년에는 대략 5,400만 톤의 수요가 예측됐다. 레미콘은 2022년 1억 4,560만㎥∼1억 5,430만㎥ 수요 → 2023년 1억 5,850만㎥의 수요가 예상된다. 골재 및 석재는 2022년에 1억 4,780만㎥∼1억 4,820만㎥의 수요 → 2023년 1억 5,310만㎥ 수요가 예상된다. 철근 및 봉강은 2022년에 1,296만 톤∼1,324만 톤의 수요 → 2023년 1,410만 톤 수요가 예상된다.

건산연은 수요량과 공급량의 불일치로 가격 변동성이 증가할 가능성을 고려해 적정 수준의 재고량 확보 및 가격 안정화를 위한 선제 대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자재 수급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큰 시기는 건설 경기가 침체한 이후 반등하는 시점이라고 지목했다.

또한 건설 경기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시작하는 공사가 있다면 좀 더 자재 수급 계획을 철저히 해야 하며, 증가한 자재비로 인하여 공사비가 상승할 수 있음을 숙지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중견 및 중소 건설사를 위해서는, 적정 수요량을 자재 공급업자에게 알리는 채널을 마련해 적정 재고를 확보코자 하는 노력과 적정 수준의 자재가 생산될 수 있도록 정부의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형 건설사는, 연간 자재 계획을 수립해 자사에 필요한 물량을 미리 선계약을 하기 때문에 자재 생산자와 바로 계약해 낮은 단가로 유리한 계약을 이끌 수 있지만, 중견사와 중소 건설업체는 공사가 진행하는 단계에 맞춰서 그 시점에 자재를 구매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이 성공하기 위해서도 안정적 자재 공급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지난해에 270만호 주택공급 계획을 발표했으며, 올해에도 공공분양주택 뉴: 홈 50만호의 공급 계획을 발표한 상태다. 

건산연은 정부는 안정적인 시장 환경을 마련해 사회에 필요한 주택이 적기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자재 수급문제가 발생하면 결과적으로 적기에 필요한 재원을 투입하지 못해 공급이 지연되고 이는 집값 상승 등과 같은 사회적 비용으로 돌아올 수도 있다며, 건설 경기 침체기에 자재 생산 급격히 위축되고 재고 물량이 소진될 경우 경기 회복기에 수급 불균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바 선제적으로 자재 수급 안정화 방안을 마련해 준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박철한 연구위원은 “건설 경기에 대한 이해와 자재 시장의 특성을 고려하여 향후 자재 수급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민간과 정부가 적정 생산과 재고를 확보해 안정적인 시장 환경 마련에 힘쓸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김** 2023-02-13 08:48:42
위의 관련기사 - 2023년 건설시장 전망은? 22.11.03년 건산연 세미나에서는 soc예산감소, 기준금리 인상, 시장 불확실성 확대등으로 23년은 19년부터 4년간 지속된 증가세는 마감되고, 3년내 가장 낮은 실적을 예상을 전망했는데...벌써 1월 첫달을 지나고 보니, 아파트 공급이 80% 급감, 미분양 증가, 판매부진이 나타나고 있고. 그리고, 수요의 부진으로 판매감소가 나타나고, 시장가격이 건설기준가 수준인데.......
혼자 만의 생각? 혼자 만의 체감?? 이상한 나라의 철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