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 수입이 저공비행으로 연말을 향하고 있다.잠정 통관자료에 따르면, 26일 누적 철근 수입은 2만7,097톤으로 전월 전체실적(3만6,207톤)의 74.8%를 기록했다. 전월 같은 기간(2만6,008톤)에 비해서는 소폭 앞섰지만, 여전히 저조한 흐름을 벗어나지 못했다. 전체 수입량의 절반을 차지한 일본산(1만3,512톤) 철근이 신규 공급을 주도한 가운데, 베트남산(4,624톤)도 전월과 비슷한 규모로 꾸준한 흐름을 이어갔다. 중국산(8,961톤)의 경우 급감했던 전월 실적을 넘어서긴 했지만, 공급구도가 바뀔 만큼 두각을 나타내지
철근 | 정호근 기자 | 2023-11-28 09:21
철근 수입시장이 연중 최저 수준의 신규 공급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잠정 통관자료에 따르면, 19일 누적 철근 수입은 2만542톤으로 전월 전체실적의 56.7%를 기록했다. 전월 같은 기간(2만2,102톤)에서는 2,000톤 안팎의 격차로 좁혀졌다. 최근 일주일 사이 신규 통관은 9,111톤(중국산 3,625톤, 일본산 1,984톤, 베트남산 3,502톤)으로 집계됐다. 원산지별 수입에서는, 중국산과 일본산의 양강구도에 베트남산이 틈새를 키웠다. 19일까지 수입은 ▲중국산 7,747톤 ▲일본산 8,171톤 ▲베트남산 4,624톤 등의
철근 | 정호근 기자 | 2023-11-21 09:12
철근 수입이 월말 통관 덕분에 연중 최저점을 벗어났다. 잠정 통관자료에 따르면, 10월 철근 수입은 3만6,207톤으로 전월 대비 9,000톤 가량 감소했다. 3만톤을 크게 밑돌던 수입 실적이 월말 이틀에 8,210톤(중국산 893톤, 일본산 5,749톤, 베트남산 1,568톤)이 몰렸다. 10월 수입 실적은 종전 최저치였던 1월(3만6,100톤)보다 100톤 가량 많아 연중 최저점에서 벗어났다.원산지별로, 일본산이 2만3,487톤을 기록하며 전체 수입량의 65%를 차지해 올 들어 가장 높은 비중을 기록했다. 중국산은 7,162톤에
철근 | 정호근 기자 | 2023-11-02 17:16
철근 수입이 연중 최저실적을 예약하게 됐다. 최근 잠정 통관자료에 따르면, 29일 누적 철근 수입은 2만7,997톤으로 전월 전체실적(4만5,177톤)의 62.0%에 불과했다. 최근 일주일 신규 통관 또한 5,027톤(중국산 209톤, 일본산 3,876톤, 베트남산 942톤)에 그쳐 전월 대비 감소폭이 확대됐다. 석 달 만에 일본산 중심의 공급구조로 바뀌었다. 29일까지 수입된 일본산 철근은 1만7,738톤으로 전체 수량의 63%를 차지했다. 중국산은 6,269톤으로 전월의 3분의 1수준으로 축소됐다. 베트남산(3,982톤)은 중국
철근 | 정호근 기자 | 2023-10-30 18:51